티스토리 뷰

반응형

 

 

 

 

 


수정일자 : 2024.09.02.(REV1 2025.02.07)

 

 

1.  당구이야기 배경

 

초보자를 위하여 상세하게 정리하였습니다. 초보자가 아닌 경우는 도면만 봐도 이해할 수 있습니다.  또한 도면을 보고자 할 때도 ""목차""에서 ""시스템"" 찾으면 되고 최신순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. 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.  유튜브 소개

 

 

그리고, 이론적인 바탕이 된   "방수좋아 TV"   유튜브를 소개하오니 필요시 유튜브를 보시고 이해하신 후 기억이 안 날 때는 도면만 봐도 이해할 수 있으니 많이 이용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 앞돌리기(엇각)시스템   도면 검토

 

가. 도면 1 검토

 

1)  앞돌리기(엇각)시스템

 

  - 기본 : 0공 범위에 배치(1목적구)  큐볼은 1목적구와 약간의 엇각  2목적구는 장축 3포인트에 위치

 

  - 1쿠션 : 큐볼이 1목적구와 수직으로 만남

 

  - 당점 : 중단3팁(09:00, 03:00)

 

2) 기본 이외의 범위(-1공 범위, +1공범위즉 6.15센티 범위)에 배치된 경우

 

  +1: 1목적구가 +1공 범위에 배치 1쿠션이 큐볼과의 수직선 6센티 앞쪽

 

  -1: 1목적구가 -1공 범위에 배치  1쿠션이 큐볼과의 수직선 6센티 뒤쪽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나. 도면 2 검토

 

 

★ 앞돌리기(엇각)시스템

 

 0공 범위에서 큐볼을 직각으로 보내면 도면과 같이 진행하여 3쿠션으로 3포인트에 있는 2목적구를 맞추는 조건

 

 담점은 중단3팁

 

 

 

 

 

 

다. 도면 3 검토

 

★ 앞돌리기(엇각)시스템

 

 0공 범위에서 큐볼을 6센티 앞쪽으로 보내면 도면과 같이 진행하여 3쿠션으로 2포인트에 있는 2목적구를 맞추는 조건

 

 담점은 중단3팁

 

 검정선 : 3쿠션이 3포인트(직각)

 

 적색선 : 3쿠션이 2포인트(6센티 앞쪽)

 

청색선 : 3쿠션이 1포인트(12센티 앞쪽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라. 도면 4 검토

 

 앞돌리기(엇각)시스템

 

 +1공 범위에서 큐볼을 +1공 범위 내로 보내면 도면과 같이 진행하여 3쿠션으로 3포인트 2목적구를 맞추는 조건

 

 담점은 중단3팁

 

 

 

 

 

 

마. 도면 5 검토

 

★  앞돌리기(엇각)시스템

 

 -1공 범위에서 큐볼을 -1공으로 보내면 도면과 같이 진행하여 3쿠션으로 3포인트 2목적구를 맞추는 조건

 

 담점은 중단3팁

 

 범위 : -1공 범위에 배치

 

 1쿠션 : 큐볼의 직각 6센티 앞쪽 지점

 

 2쿠션 : 큐볼의 지각 방향

 

 3쿠션 : 3포인트, 2, 1 포인트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4. 참고사항

 

길게치기(틀린용어 : 세워치기)는 상당히 어려우므로 집중력으로 쳐야 합니다. 그리고 3개의 우치 중  -1공에 해당하는 곳은 ""제87편 앞돌리기(곱하기8)시스템""과 동일하므로 제87편이 더 좋을듯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5. 공감 및 구독하기 버튼 이용 

 

 

제가 운영하는 다몬드 홈페이지를 이용하시면 정부지원정책, 일자리(부업, 알바), 고용보험, 기초연금, 국민연금, 독후감 등 많은 자료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끝으로 홈페이지 최고 하단 "공감"과 "구독하기" 버튼이 있습니다. 이 버튼을 등록하시면 지속적으로 ""최신정보""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작가인 저에게 경제적인 도움도 됩니다 

 

 

여기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드리며, 독자님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가득하시길 기원드립니다.

 

 

 

======= 파이브앤당구 차홍만 올림 =======

반응형